Search
  • Bodyscape76-2-2019, 2019, Acrylic on canvas, 162.2 x 130.3 cm
  • Bodyscape76-1-2019, 2019, Acrylic on canvas, 162.2 x 130.3 cm
  • Bodyscape76-3-2019, 2019, Acrylic on canvas, 162.2 x 130.3 cm
  • Courtesy of the artist & Leeahn Daegu © Youngha Jo
  • Courtesy of the artist & Leeahn Daegu © Youngha Jo
Lee Kun-Yong Body+Scape=Bodyscape Mar 07 – Apr 30, 2019 | Daegu

Leeahn Gallery is pleased to announce Body+Scape=Bodyscape, Lee Kun-Yong’s solo exhibition at our Daegu location. Lee is the father of Korean avant-garde art, utilizing various mediums ranging from performance, painting and installation to sculpture, providing groundwork for the artistic and theoretical history of Korean performance art. 

 

Bodyscape is a neologism that is also the title of Lee’s painting series that uses physical performance. This term clarifies the fact that the physical act of repetitively drawing lines is caused by the mechanism of its interaction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is exhibition title- which shows an addition equation of body and scape -, however, attempts to elucidate the fact that Lee is actively embracing the association between his artistic gesture and the actions of our daily life, rather than to explain the artist’s intention. 

 

First displayed at MMCA’s Korean Fine Arts Association exhibition in 1971, Corporate Term is an installation piece of a massive tree trunk and its roots with a heap of soil, cut forward and placed on the ground. This work aimed to bring an existing object, in other words a part of nature into the exhibition space with the belief that a part of nature could also be a part of the body. Immediately after presenting an identical form of artwork at the 8th Paris Biennale that was held in Musée d'art modern in 1973, Lee became aware that his own body could be a medium to bring an expansion of recognition in terms of artistic expression, and began to consider the essence of painting. That is, painting is not a reenactment of a particular subject but rather a physical performance of an instant, direct objectification of one’s body and its gestures as the subject of drawing, which is then portrayed on a two-dimensional flat surface. 

 

Since then, Corporate Term became the artist’s basic ideology that penetrates his artistic world, while Merleau-Ponty’s phenomenology and Wittgenstein’s linguistic philosophy became the found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his theory. Just like Merleau-Ponty has once said, “the consciousness of the world is to exist of object with one’s body as the medium”, Lee sets his physical gesture that engages in a reciprocal relationship with the object within space as a single term. The Bodyscape series aim to record the trace of Lee’s repetitive gesture via paint as the movement of the arm within short distance between his body and the drawing board is extremely limited; Bodyscape 76-1 portrays the repetitive process of drawing the line, cutting the drawn section, then drawing beyond the cut section while keeping his back to a drawing board of his height and stretching his arm frontwards, and Bodyscape 76-2 depicts a radial line that is drawn along the trajectory of Lee’s body with his back to the drawing board. Lee suggested that his performance can be considered as an event that occurs when a trivial act is pushed to its limit, seen in the perspective of conventional artistic act. Such tautological act, however, is in the state of ‘unknown’ according to Wittgenstein’s proposition of tautology, which does not necessarily mean ‘meaninglessness’ but instead ‘0’ with room for logical elaboration. In fact, Lee’s repetitive lines are ‘identical yet different’ lines that are able to sense the spatial movement, passage of time, and the minute change and difference in strength in terms of the arm’s movement. Unlike the performance of the West in which an event puts basis on the interference of an impulsive and incidental event, Lee’s performance is the natural product of a logical conclusion and interpretation of a certain situation and its inevitable conditions, as the artist designated the grammatically incorrect coinage of ‘event-logical’ to his work. 

 

The space of the world we live in is a potential field in which our gesture and movement can occur. There is always something happening in this daily scene. This ‘event’ that took place is not especially unique or spectacular, but a series of insignificant, ordinary action. Lee’s painting installation using a paper box that is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in this exhibition is in line with his artistic act. Every object in this world is indeed connected to the act of human. If we were to analyze the acts that happen around these boxes, they would include being created to store a new product or a present, being delivered elsewhere and then getting recycled. In the same manner that he did with the Bodyscape paintings, Lee uses paper boxes of various shapes, sizes and colors as the supporter of painting that consists of repetitive stroke lines. Unlike the two-dimensional flat canvas, multiple sides of the cubic box serve as the background for further drawing, therefore making the painting three-dimensional. Some boxes maintain its initial color with lines drawn on them, while others are painted before having the lines drawn on top. At times, the letters printed on the box seep through the surface. These completed boxes are brought back to the gallery space and metamorphosed into diverse painting installations such as being hung on the wall or stacked up on the floor. 
 

Such futile paper boxes become to exist in a completely different context as they go through not only disparate people but also dissimilar locations, and are granted the status of an artwork by means of the artist’s physical gesture. Lee discloses that he began to question the definition of “viewing something in an exhibition space” via such working process. Majority of the audience expects to be overwhelmed by the aura of the artist’s one and only creation, which suggests that the viewers themselves are limited to the fraction that has a sophisticated cultural recognition. Lee, however, embraces everyday objects that were discluded from the area of art and the lives of isolated population into the system of art institution through paper box drawings. Moreover, the audience that view the ordinary box that transformed into a drawing installation work is able to do so from multiple perspectives, creating another continuity of artistic performance. 

 

Lee eventually demonstrates through his physical gesture that art and everyday life are “event-logical” that are capable of forming a unified logical reasoning by bestowing a new status of painting and installation to a mere box. In other words, the value conversion of a useless piece of trash into an artwork reminds the fact that art and everyday life are not two separate worlds but rather a universe that creates performance with body as the medium. As such, the artist offers room for the fundamental reasoning of what art is, as well as the expansion of artistic boundary. 

 

 

 

리안갤러리는 퍼포먼스와 회화, 설치, 조각 등 다양한 매체를 아우르며 한국 행위미술의 예술적, 이론적 역사의 기틀을 마련하고 있는 거장 이건용 작가의 신작을 소개하는 개인전 (신체 + 일상)을 2019년 3월 7일부터 4월 30일까지 대구에서 열리는 첫 전시로 준비하였다.

본래 'Bodyscape'는 신조어로서 신체 퍼포먼스를 이용한 회화 연작의 작품 제목으로 사용된 것이다. 즉 반복적으로 선을 그어 나가는 신체의 행위가 그 주변 공간과의 상호작용의 기제에 의한 것임을 천명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번 전시 표제는 이 신조어를 이루는 'Body(신체)'와 'Scape(풍경)'를 다시 분리하여 더하기와 등호를 부가한 후 'Bodyscape'가 되었음을 보여주는데 이는 작가의 의도에 대한 설명적 표제라기보다는 한글 부제인 '신체 + 일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가가 예술적 신체 행위와 우리의 일상 풍경 속 행위들의 연계성을 더욱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음을 명징하게 드러내기 위한 것이다.

1971년 국립현대미술관의 한국미술협회전에서 처음 선보였던 <신체항>은 거대한 나무 몸통이 뿌리내린 흙더미를 정방형으로 잘라 바닥에 설치한 작품으로서 자연의 일부는 곧 신체의 일부일 수도 있다는 신념하에 신체를 통해 세상 속에 존재하는 사물, 즉 자연의 일부를 전시장 안으로 가져오는 작업이었다. 1973년 파리 시립미술관에서 개최된 제8회 파리 국제비엔날레에서도 같은 형식의 작품을 선보인 직후 작가는 예술 표현에 있어서 세계로의 인식의 확장을 가져올 수 있는 것은 바로 '작가 자신의 몸'이 될 수 있다는 자각과 함께 회화의 본질에 대해서도 고민하게 되었다. 즉 회화는 어떤 대상을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그리는 주체로서의 자신의 몸과 행위가 곧 즉각적, 직접적으로 객체로서 대상화 되어 2차원 평면에 표현되는 양식을 모색한 것으로 신체 퍼포먼스가 곧 회화로 귀결되는 것이다.

이때부터 '신체항'은 작가의 예술 세계를 관통하는 기본 이념이 되었으며 고등학교 때부터 탐독한 메를로-퐁티(Merleau-Ponty)의 현상학과 비트겐슈타인(Wittgenstein)의 언어철학은 그의 이론 정립을 위한 토대가 되었다. 메를로-퐁티가 "[세상에 대한] 의식은 몸을 매개로 사물에 대해 존재하기"라고 했던 것처럼 이건용 작가는 공간 안에서 사물과 상호적 관계를 맺는 자신의 몸짓 행위를 하나의 항(項)으로 설정한다. 자신의 키(신장) 만한 화판의 뒤에 서서 팔을 앞으로 넘겨 내밀고 선을 그은것 만큼 잘라내고 잘라낸 부분만큼 더 많이 팔을 넘겨 또 다시 계속 선을 긋고 그은 것 만큼 잘라내면서 반복적인 선긋기 작업을 하는 <신체드로잉 76-1>이나 화판을 등지고 서서 뒤의 화면에 가능한 것만큼 자신의 몸의 궤적을 따라 방사형의 선을 긋는 <신체드로잉 76-2>는 자신의 몸과 화판의 근거리 공간 안에서 팔의 움직임을 극단으로 제한하면서 동일한 행위의 자취가 물감의 자국으로 기록되도록 한 것이다. 작가는 기존의 예술 행위로 볼때는 "쓸모없는 행동을 극한까지 밀어붙일 때 일어나는 것"이 자신의 퍼포먼스라고 했다. 그러나 이러한 동어반복적(tautological) 행위는 비트겐슈타인의 동어반복의 명제가 의미하는 '알수 없음'의 상태이지만 이는 '무의미'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0'과 같은 상태로서 논리적 부연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실제로 이건용이 행한 반복적 선들은 팔의 움직임에 있어서의 공간적 이동, 시간의 흐름, 미세한 힘의 차이와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동일하지만 동일하지 않은' 차이의 선들이다. 작가가 이러한 자신의 작업을 '이벤트-로지컬(Event-Logical)'이라는 영어 문법을 파괴한 조어로 명명한 것과 같이 서구의 퍼포먼스에 있어서의 이벤트가 즉흥적이고 우발적 사건의 개입에 근거를 둔 것과 달리 그의 퍼포먼스는 상황, 그 상황의 필연적 조건이 자연스럽게 결과하는 어느정도 계산된 이벤트에 따라 논리적 귀결과 해석이 뒤따르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상의 공간은 우리의 행위와 움직임이 일어날 수 있는 잠재적 장이다. 이 일상적 풍경 속 어디에서든 항상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다. 이 '일어난 일'은 우리의 주의를 사로잡는 특별한 사건이나 스펙터클한 이벤트가 아니라 별다른 가치나 의미도 없는 일상적 행위들의 연속들을 말한다. 이번 전시에서 작가가 새롭게 시도하는 버려진 종이 상자를 이용한 페인팅 설치작품은 이러한 무가치한 일상적 행위를 자신의 예술적 행위와 연동시킨 것이다. 사실 이 세상의 모든 사물은 인간의 행위와 연결되어 있다. 이 상자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행위들을 짚어 보면, 새로운 상품이나 선물을 담기 위해 만들어지고, 누군가에게 배달되었다가 용도 폐기되어 재활용품 또는 쓰레기로 버려진다. 작가는 모양과 크기, 색상이 제각각인 각종 종이 상자들을 작업실로 가져온 후 기존 신체 회화가 뒤에 서서 그렸던 것과 같이 반복적 선긋기 행위를 펼치는 회화의 지지체로 사용한다. 2차원 평면의 캔버스와 달리 여러 면들로 이루어진 입체적 형태의 상자 안쪽, 바깥쪽 모두 그리기의 바탕이 되며, 입체적 회화가 된다. 어떤 것은 상자 본래의 색상이 그대로 바탕이 되어 선만 그려지기도 하고, 어떤 것은 바탕색이 덧씌워진 후 선이 그어지기도 한다. 때로는 상자에 인쇄된 글자들이 언뜻 스며 나오기도 한다. 그리고 이렇게 완성된 상자들은 다시 갤러리 공간으로 옮겨진 후 벽면에 걸리거나 바닥에 쌓아 올리거나 천장에 매다는 등의 행위를 통해 다양한 회화 설치 작품으로 연출되어 탈바꿈된다.

이렇게 용도 폐기된 종이 상자들은 평범한 익명의 사람들의 행위를 거치고 거쳐 장소를 이동하며 작가에게 선택되어 작가의 신체 행위를 통해 예술작품으로 전환되면서 완전히 다른 맥락 속에서 존재하게 된다. 작가는 이러한 작업을 통해 '예술작품 전시장에서 어떤 것을 본다는 행위는 무엇인가'라는 의문을 품게 되었다고 고백한다. 일반적으로 전시장을 찾는 관객들은 작가의 손에서 탄생한 유일무이한 창작품의 아우라를 기대하고, 그러한 작품을 향유하는 관객들 또한 '고고한' 문화적 의식을 가진 일부로 제한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건용은 종이 상자 드로잉 작업을 통해서 예술적 영역에서 제외되어 있던 쓸모없는 일상의 오브제, 미술 관객으로서 소외되어 있었을지도 모르는 불특정한 사람들의 삶의 일부를 미술 기관의 제도 안으로 수용한다. 그리고 드로잉 설치작품으로 전환된 일상의 상자를 관람하는 관객들은 일상과 작품의 주변을 이리저리 배회하며 감상하는 행위로써 또 다른 예술행위의 연속성을 만들어 낸다.

이건용은 결국 자신의 신체 행위를 통해 버려진 상자에 드로잉 회화와 설치라는 새로운 지위를 부여하여 그것을 갤러리의 예술적 맥락으로 도입함으로써 예술과 일상이 하나의 통합된 논리적 사유 체계를 형성할수 있는 '이벤트-로지컬'임을 실증한다. 즉 무가치한 일상의 쓰레기가 예술작품으로서의 가치 전환을 가져오면서 예술과 일상은 동떨어진 분리된 세계가 아니라 신체를 매개로 연동된 예술행위를 만들어가는 세상임을 상기시킨다. 이를 통해 작가는 예술적 영역의 확장은 물론, 더 나아가 예술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근본적 사유의 장을 마련한다.

 

 

글. 성신영

Artist

    select * from sp_product where wm_id='46'
  • Lee Kun-Y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