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 Courtesy of the artist & Leeahn Seoul © Youngha Jo
  • The method of Drawing 76-2-2011, 2011~2014, Photo and Acrylic on canvas, 260 x 194 cm
  • Bodyscape, 2017, Acrylic on canvas, 200 x 230 cm
  • The method of Drawing 76-1-2011-B, 2011, Acrylic on canvas, 60 x 72 cm
  • The method of Drawing 76-4-2015, 2015, Acrylic on canvas, 91 x 117 cm
Lee Kun-Yong May 18 – Jul 29, 2017 | Seoul

LEEAHN Gallery Seoul presents a solo exhibition of Kun-Yong Lee, one of Korea’s high-profile performance artists, from May 18 to July 29 of 2017.

Lee’s influence on the avant-garde in the 1960s and 1970s in the history of the local art scene has resurfaced since his retrospective 《A Snail’s Gallop: Kun-Yong Lee》 at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in 2014.

Lee’s solo exhibition at LEEAHN Gallery is noteworthy in that it is set to be an insightful look into his avant-garde paintings of originality, broadening the horizons of his performance and conceptual art.
Laying the cornerstone of his performance art since 1976, his Body Drawing series on show as drawings have been rather lopsidedly translated as the artistic solutions specific to his philosophical concepts implemented via his performance, with a due share of attention having not been paid to the significance of the drawings per se.


Conversely, his solo at LEEAHN focuses on how Lee’s Body Drawing series initiated in the 1970s have evolved from the drawings for ‘recording’ certain artistic activities to the expression of paintings. His paintings throw light on the significance of the continuum of his profound philosophical concepts manifested in his world of art, while at the same time providing the audience with some serendipity of encountering unintended and overlooked but profound artistic outcomes.


His paintings on display at LEEAHN feature the images derived from his Body Drawing series and their variants. Most significantly, these images imply his philosophical thoughts rooted in his Body Drawing series and the discourses on human body representing Merleau-Ponty’s phenomenology as well as Wittgenstein’s critical perspective of idealism, and express those aspects in the form of art. In so far as his Body Drawing series embody his belief that an artist’s body can and must be an overarching medium of art, the images in his paintings are part of his intention to show the audience what he believes to be the “effects of human body on the act of painting” and the “perception of the world that is formulated only by the medium of our body”.


Lee’s image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Merleau-Ponty’s philosophy rather than Wittgenstein’s. In his book 『The Phenomenology of Perception』, Merleau-Ponty elucidates his philosophical perspective that our relationship with the world comes prior to thoughts or ideas, which is neither a spiritual nor intellectual but existential experience that occurs by virtue of our sensory organs on a momentary basis. Merleau-Ponty values the fundamental perception of how our body is positioned and how its sensory organs work, and emphasizes the direct effects on human perception of such components as how close our body is positioned to the objects we perceive. An intriguing difference between Ponty and Lee is that the former stresses the importance of vision on the ground that painting is a visual medium equivalent to a crystalline of visual sensory actions in his theoretical discourse on painting, whereas the latter opts for an experimental attitude to see the outcomes of maximal exclusion and containment of the very key component ‘vision’ in the visual medium of painting.


Another notable significance of Lee’s paintings is that they do not remain as a means of manifesting his thoughts and ideas within the scope of his conceptual art but play avant-garde roles of opening a new page in the history of traditional paintings. Throughout the history of painting, most existing methods of producing and experiencing paintings have been concerned with ‘frontality (looking at paintings face to face)’, ‘visual perception’ and resultant ‘visual experience’.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painting, Lee’s discourse on ‘drawing’ is so idiosyncratic. As opposed to the frontality of all paintings that have been created so far, Lee’s paintings are unique in terms of the extraordinary ways that his body is positioned, e.g. he stands behind the canvas or with his back toward the canvas or has the canvas sprawl out on the floor. His peculiar attempts have given rise to a new world of drawing and painting. The traces of limited body movements in his works engender an unprecedented revolution or experience of unique language of paintings. Lee tries to overcome the vision-centered painting by opting out of the traditional arrangement of canvas he faces. Instead of following the eye-driven flow of thoughts and visual appreciation, his hands express his body’s spontaneous response to the canvas settings, while ignoring the visual sense, and creating new images of originality for the audience. Considering the substantial influence of visual sense on human experiences, the images created with the vision maximally contained in our perceptive experiences and with the limited body movements lead us back to the concept of ‘embodiment’, which reminds us of some challenges associated with the world of our perception and experience limitedly driven by the media of sensory organs and the perception of human body.


Lastly, as Lee’s major performance and resultant outcome, his world of drawings radically pursues logic, excludes arbitrariness and coincidence, and results in the expression and record of universality and inevitability ascribable to the limited settings. In contrast, his extended expressions in his paintings unexpectedly embrace his arbitrariness (corresponding to positive creative areas) and coincidence (conducive to increasing creative expressions) to a great extent.


To reiterate, his brushes and colors have unpredictably added to the flexibility of his body movements, while his momentary random selection of colors expresses his psychology, which is hard to see in his drawings characterized by rigidness and moderation. Owing to the fluidity of paints acting as the medium, his wild body movements cause the touch of his brush to flow spontaneously, with the dripping wet color paints mixed with one another in unintended ways, generating some images of superb expressionist paintings. A positive outcome of paintings unintended by the artist is that the involvement of coincidence empowers his images to convey the temporal and spatial world of our experience more fully existing, operating and being perceived as it is.



이번 서울 리안갤러리에서는 5월18일부터 7월29일까지 우리나라 대표적인 행위예술작가로 알려진 이건용작가의 개인전을 선보일 예정이다.

그동안 우리나라 60-70년대 아방가르드 예술 활동의 미술현장에 대한 역사 안에서 이건용작가가 차지하는 중요한 위치는 2014년 국립현대미술관의 회고전 <달팽이걸음 : 이건용>을 기점으로 최근에 상당히 집중적으로 재조명되고 있다.

리안갤러리에서 선보이는 이번 이건용 작가의 개인전이 가지는 목적과 의의는 그동안 주로 그를 퍼포먼스와 개념 미술 작가라는 측면에서만 바라보았던 기존의 우리의 관심과 이해의 관점에서 벗어나 이번에는 보다 집중적으로 페인팅 작가로서의 이건용 작가의 작업의 전위성과 독창성을 바라보는 계기를 마련하는 전시라는 점이다.

그의 대표적 퍼포먼스 작업의 일환으로 알려진 1976년을 기점으로 시작된 <신체드로잉 시리즈>작업들 <신체드로잉 76-1, 76-2, 76,3, 76-4>은 이제껏 이 작품들이 드로잉으로써 보일 때 드로잉 자체가 가지는 의의 보다는 이러한 드로잉들이 이건용 작가의 퍼포먼스의 결과로서 나온 기록물로 간주되어 왔으며, 작가 만의 철학적 개념의 예술 해법으로서 이해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번 리안 전시를 통해서 관객들은 그의 70년대 <신체드로잉 시리즈>가 단초가 되어 이건용 작가가 이를 단순한 특정 예술 활동의 ‘기록적’ 드로잉의 기능에서 더 나아가 회화라는 장르에서 페인팅으로 표현하고 발전시켜온 결과물들을 감상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작품들은 이건용 작가의 작품 활동 세계에서 가지는 그의 철학적 개념의 발현의 연장선 상에서의 의의와 작가 자신은 의도하지 않았을 수도 있거나 중요하게 여기지 않고 간과하거나 예상치 못했던 의외의 예술적 성과들을 발견하는 기회가 되리라 기대한다.

리안 전시에서 보이는 페인팅 작업들은 그의 <신체 드로잉>시리즈에서 도출된 이미지들과 그 이미지들의 변형작업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회화적 이미지들은 무엇보다도 우선 <신체드로잉>작업들이 본래 가지고 있었던 이건용작가의 철학적인 생각들, 비트겐슈타인의 관념론 비판적 관점과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의 대표개념이라고 할 수 있는 몸에 관한 담론들을 모두 내포하고 있는 점이고 그것들에 관한 예술적 표현이라는데 일차적 의의를 두어야 할 것이다. 그가 예술가의 신체가 굉장히 중요한 예술적 미디엄이 될 수 있고, 되어야만 한다고 믿고 이를 작업으로 실현하기 시작한 것이 그의 <신체 드로잉>시리즈의 작업인 만큼 그의 회화적 이미지는 모두 이러한 그의 생각 즉 “우리의 신체조건이 그린다는 행위 작업에 미치는 영향”, “몸이라는 조건을 매개로 해서만 이루어지는 세계에 대한 우리들의 인식”들을 관객에게 보여주기 위한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그의 작업들이 회화라는 장르에서 가지는 또 다른 신선한 의의는 그의 회화가 그의 개념 미술 안에서 생각을 표방하는 수단에만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작가의 회화적 표현이 전통 회화 장르라는 미술사 안에서 새로운 회화사를 여는 아방가르드적 역할을 보여주었다는 점이다.

이건용 작가의 ‘그린다’ 는 것에 관한 그의 담론은 상당히 독창적이라 할 수 있다. 그간의 모든 회화가 작가가 그리려는 화면의 정면의 위치에서 이루어진 점을 볼 때 이건용작가의 회화는 화면의 뒤에서 또는 화면을 등지거나 화면을 뉘어 놓은 채 일반적인 작가의 위치가 아닌 위치에서 그려냈다는 점에서 매우 특이하다. 작가의 이러한 색다른 시도는 새로운 그림 그리기의 세계를 드러내 보여주었다. 여러 화면 위치들의 제한 조건 속에서 남겨지는 신체의 흔적을 그림 속에 담아낸 그의 회화는 사상 유래 없는 혁명으로 또 다른 독특한 회화 언어로 경험 된다. 작가가 마주하는 전통적인 화면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그동안의 시각 중심의 그리기의 방식을 극복할 수 있다고 본 것인데, 눈과 눈이 이끄는 생각과 감상에 손이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시각이 제외된 몸이 그리려는 화면의 조건에 대응하며 나타나는 것들을 표현하여 드러냄으로써 우리는 그동안 보지 못했던 새로운 이미지와 마주하게 되는 경험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작가의 주요 퍼포먼스들과 그것들의 결과물로써의 드로잉들의 작품 세계가 철저하게 논리를 중요하게 생각함으로써 자의성과 우연성을 배제하는 제한적 조건이 가지는 보편성과 필연성 등의 표현과 기록들이었다면 그의 회화적인 확장의 작업들은 오히려 회화적 표현이 포함되면서 의외로 예상치 못한 작가의 자의성 (긍정적 의미의 창의적 영역의 부분에 해당하는 것)과 우연성 (이 역시 더 창의적 표현의 영역이 증폭된다는 긍정적 의미에서)이 상당히 많이 포함된다는 점이다. 다시 말하면 그가 붓 사용과 물감들을 사용하면서 엄격하고 절제하며 나타내 온 드로잉 작업들에서는 보기 힘들었던 그의 신체적 움직임들은 예측할 수 없이 더욱 유연해지고 그의 매 순간 다르게 선택 되는 임의적인 색상 선택은 작가의 심리적 표현을 가능하게 한다. 페인팅이라는 미디엄이 가지는 유동성이 작가의 몸의 격렬한 움직임에 따라 뚝뚝 물감이 떨어지면서 예상하지 못하는 붓 터치가 흐르고 색이 서로 마르지 않은 상태에서 섞이면서 의도하지 않았던 색들의 섞임이 발생되고 이것들이 이미지로 나타나는 결과는 엄청난 표현주의적 회화로 경험 된다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 점이다. 작가의 회회가 의도하지 않았던 긍정적인 결과는 이러한 우연성의 개입으로 그의 이미지는 우리로 하여금 시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우리의 경험과 인식의 세계를 더욱 더 실재하는 그 자체로, 운영되는 그 자체로, 인식되는 그 자체로 더 온전하게 담아내어 보여준다는 것이다.

Artist

    select * from sp_product where wm_id='46'
  • Lee Kun-Yong